Global Service

여행 레벨 테스트

여행 레벨 테스트

Search TouringWIKI

Travel Media Platform touringwiki

Travel Media Platform touringwiki

파트너스센터

팔로어

검색어 한옥에 대한 글을 날짜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합니다. 관련순 정렬 모든 글 표시

광명역 – 남서울역 역할을 맡은 KTX 고속철도역

광명역 Gwangmyeong Station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남서울역 역할을 맡은 KTX 고속철도역

광명역(光明驛)은 경기 광명, 안양, 안산 등 경기 서부지역과 서울 서남권과 인천 등의 고속철도 이용객들을 위해 만든 역이다. 
서울역으로 집중되는 고속 철도 이용 수요를 KTX 광명역으로 분산하기 위해 2004년 영업을 시작했다. 사실상 남서울역 역할을 맡았지만 애매한 위치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 이용객이 많지 않다. 
2006년 12월 지하철 1호선 시흥연결선이 금천구청역에서 간선 전철로 연결됐다.광명역은 서울역과 용산역을 출발한 경부선 KTX와 호남선 KTX가 지나는 역으로 다음역은 천안아산역이다. 
외관은 한옥 처마를 연상시키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원한 통유리로 설계돼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Tour Guide | 여행정보

  • 주소 : 경기 광명시 광명역로 21
  • 운영시간:  KTX 운행시간 개방 /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오전1시(연중 휴무)
  • 전화 : 1544-7788   클릭
  • 지하철:지하철 1호선 광명역5번 출구와 연결돼 있다.

  • 구글 360    

    구글 지도    

    경기전-조선 태조의 어진을 모신 조선 왕조의 발상지

    경기전 Gyeonggijeon Shrine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조선 태조의 어진을 모신 조선 왕조의 발상지

    전주한옥마을에 있는 경기전(慶基殿)은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의 어진(초상화)을 모신 진전이다. 1410년 태종은 전주, 경주, 평양에 태조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하는 전각을 짓고 어용전(御容殿)이라 불렀다. 
    1442년 세종 당시 소재지마다 이름을 달리해 전주는 경기전, 경주는 집경전(集慶殿), 평양은 영종전이라 불렀다. 현재 남아 있는 진전은 경기전이 유일하다. 
    경기전은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었던 것을 1614년에 중건했다. 경기전은 태조 이성계의 선조들이 대대로 살았던 곳으로 조선 왕조의 발상지라 여겨졌다. 
    경기전이라는 이름은 ‘조선왕조가 일어난 경사스런 터’란 의미다. 경기전은 국보로 지정된 태조 어진이 봉안된 정전과 동편에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전주사고, 서편에 태조 어진을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던 부속 건물이 있다. 
    정전 북쪽에 있는 조경묘가 있고, 옆에는 어진 박물관이 있다. 조경묘는 전주 이씨의 시조인 신라 사공공(司空公) 이한(李翰) 부부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1771년에 지었다.


    Filming Location | 드라마·드라마 촬영지

    마이웨이(2011년) 광해(2012년) 역린(2014년) 궁(2007년) 성균관스캔들(2010년) 연모(2021년) 옷소매 붉은 끝동(2021년)  슈룹(2022년)  



    Tour Guide | 여행정보

  •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 개방시간: 오전 9시~오후 6시
  • 입장료: 성인 3000원, 청소년 2000원, 어린이 1000원
  • 전화 : 063-281-2788   클릭
  • 대중교통:전주역에서 535,522, 520,515번을 타고 전라감영, 완산경찰서 앞에서 내리면 된다. 버스로 30분 걸린다.

  • 구글 지도    

    전동성당 – 호남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건축물

    전동성당 Jeondong Cathedral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호남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건축물

    전주 전동성당은 호남 지역에서 처음으로 지어진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진 가장 오래된 성당이다. 사적 제288호로 지정된 전동성당은 전주한옥마을의 랜드마크 중 하나다. 
    1889년 프랑스 보두네(Francis Baudounet) 신부가 부지를 매입하고, 1908년 푸와넬(Poisnel) 신부의 설계로 1914년 완공됐다. 
    전주는 조선시대 전라감영이 있어 1791년 신해박해 당시 순교지가 되었다. 당시 천주교 신자인 윤지충과 권상연이 순교했다. 
    전동성당은 붉은벽돌 건물로 중앙 종탑을 중심으로 양쪽에 작은 종탑이 배치됐다. 본당 내부는 둥근 천장으로 되어 있다. 
    전동성당에서는 아름다운 외관 모습 때문에 많은 영화와 드마마가 촬영됐고, 결혼식 장소로 쓰이고 있다. 군사독재 시절에는 민주화 운동의 성지 중 한 곳이었다.  


    Filming Location | 드라마·드라마 촬영지

    약속(1998년) 재밌는 영화(2002년) 마이파터(2007년) 전우치(2009년) 레인보우 로즈(2012년, 일본드라마)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2013년)  



    Tour Guide | 여행정보

  •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동 200-1
  • 개방시간: 오전 9시~오후 5시
  • 전화 : 063-284-3222   클릭
  • 전동성당 홈페이지   클릭   
  • 대중교통:전주역에서 119번을 타고 전동성당,전주한옥마을 앞에서 내리면 된다. 버스로 20분 걸린다.

  • 구글 지도    

    수연산방 – 영화·드라마 촬영 명소가 된 소설가 이태준 전통가옥

    수연산방 Suyeonsanbang Traditional House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영화·드라마 촬영 명소가 된 소설가 이태준 전통가옥

    서울 성북동에 있는 수연산방(壽硯山房)은 근대 단편 소설가 이태준(李泰俊·1904~?)이 살던 집이다. 고즈넉한 전통한옥 건물로 많은 영화와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이 촬영됐다. 
    수연산방은 원래 이태준이 1933년부터 1946년까지 ‘수연산방’이라는 당호를 짓고 거주한 한국 전통가옥이다. 이태준은 그의 첫 단편집인 ‘달밤’(1934년), 가마귀(1937년)과 장편소설 ‘구원의 여상’(1937), ‘화관’(1938) 등을 집필했다. 
    수연산방은 조그만 대문으로 들어서면 건물 가운데 대청 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건넌방과 오른쪽에 안방을 둔 ‘ㄱ자형’ 가옥이다. 안방 앞에는 누마루가 있고, 그 뒤에 부엌과 화장실을 두었다.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된 수연산방은 현재 전통차를 파는 전통 한옥 카페로 이용되고 있다. 


    Filming Location | 드라마·예능 촬영지

    부부의 세계(2020년) Ⓜ하녀(2010년) Ⓜ아이엠히어(프랑스 영화·2021년)놀면뭐하니 유야호편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수요미식회 



    Tour Guide | 여행정보

  • 주소 : 서울 성북구 성북동 248
  • 전통카페 운영시간: 오전 11시30분~오후 6시(토요일, 일요일은 오후 10시)
  • 전통카페 메뉴: 대추차 1만 5000원
  • 전화 : 02-764-1736   클릭
  • 수연산방 블로그   클릭   
  • 대중교통:지하철 4호선 한성대역에서 내려 2112번,1111번 버스를 타고 이태준가옥에서 내리면 된다.

  • 구글 360    

    구글 지도    

    돈의문 박물관마을 -서울 근현대 100년을 담은 역사문화공간

    돈의문 박물관마을 Donuimun Museum Village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서울 근현대 100년을 담은 역사 문화공간

    돈의문 박물관마을은 서울의 근현대 100년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마을이다. 마을은 마을마당을 중심으로 마을 안내소와 체험지원실, 돈의문역사관 등 ‘근현대 100년, 기억의 보관소’라는 콘셉트으로 꾸며졌다. 
    마을은 옛 새문안 동네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전시관과 고즈넉한 한옥마을을 재현해 놓은 돈의문 역사관 등이 있다. 마을에 들어서면 오래된 주택과 좁은 골목, 가파른 계단 등 정겨운 새문안의 옛 동네 모습을 만날 수 있다. 
    마을에는 1960~1980년대 추억을 되살릴 수 있는 삼대가옥, 서대문사진관, 서대문여관, 삼거리이용원, 돈의문 의상실, 돈의문 콤퓨타게임장 등이 있다. 또 스코필드 기념관과 시민갤러리, 서울100년 이야기관 등이 있습니다. 
    2017년 문을 연 돈의문 박물관마을은 39채 곳의 역사·전시·체험관 공간이 있다. 돈의문 박물관마을은 서울 서대문구 강북삼성병원 건너편에 있다.



    Tour Guide | 여행정보

  • 주소: 서울 종로구 송월길 14-3
  • 전화: 02-739-6994   클릭
  • 요금 :무료
  • 운영시간 : 오전 10시~오후 7시
  • 지하철 :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 4번 출구 350m

  • 구글 360    

    구글 지도    

    호암미술관 –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 회장이 설립한 한국 최초 사립미술관

    호암미술관 Ho-Am Art Museum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 회장이 설립한 한국 최초 사립미술관

    호암미술관은 삼성그룹 창업자인 호암 이병철(1910~1987) 회장이 설립한 한국 최초의 사립미술관이다. 이병철 회장이 30년에 걸쳐 수집한 한국미술품 1200여점을 바탕으로 1982년 4월 문을 열었다.
    아름다운 숲 속에 자리잡은 호암미술관은 전통한옥 형태의 본관 건물과 전통정원 희원(熙園), 수변광장, 부르델 정원 등으로 이뤄져 있다. 
    소장품은 계속 늘어나 현재 선사시대 유물로부터 근대 미술품에 이르기까지 도자기와 민화, 불화, 서화, 목기, 석물 등 1만 6000여점에 이른다. 
    코로나로 2020년 2월 휴관에 들어갔다가 내부 리노베이션을 통해 2021년 10월 8일 재개관했다.호암미술관은 리노베이션을 통해 과거와 현재, 외부와 내부, 건축과 사람, 자연이 유연하게 연결되는 공간을 지향하도록 꾸몄다. 
    2층 라운지는 창호를 확대해 내외부의 경계를 없애 희원과 외부전경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2023년 5월18일부터 9월10일까지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김환기(金煥基·1913~1974) 화백의 40년 예술 세계 전반을 돌아볼 수 있는 ‘한 점 하늘_김환기 a dot a sky_kim whanki’ 회고전이 열리고 있다.




    Tour Guide | 여행 정보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에버랜드로562번길 38
  • 전화:031-320-1801    클릭
  • 운영시간: 10:00~18:00 (매표마감 17:00) 월요일 휴관
  • 호암미술관 홈페이지   클릭   
  • 지하철 :지하철 에버라인 전대·에버랜드역 3번 출구에서 300m 떨어진 ‘에버랜드입구’ 정거장에서 셔틀버스를 이용

  • Spot Story | 구글 360


    Spot Story | 구글 지도

    대구 계산성당 – 대한민국 사적으로 지정된 영남 최초 고딕양식 건물

    계산성당 Gyesan Cathedral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대한민국 사적으로 지정된 영남 최초 고딕양식 건물

    대구 계산성당(桂山聖堂)은 1903년 건축된 영남 최초의 고딕양식 건물이다. 1899년에 한옥양식으로 된 십자형 기와집 성당이 건립됐으나 화재로 소실되자 당시 대구본당 초대 주임인 로베르 신부가 두 개의 종탑을 갖춘 고딕양식 벽돌 건물을 다시 건립했다. 대구는 조선시대 천주교 박해를 피해 천주교 신자들이 모이면서 일찍부터 큰 교세를 형성한 곳이다. 계산성당은 1911년 대구교구이 되면서 대구 경북지역 가톨릭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1981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90호로 지정됐으며, 1984년 5월 5일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방문했다. 계산성당은 영화 ‘검은사제들’(2015년)이 촬영됐다. 김 신부(김윤석)가 구마의식을 위해 성물을 가지러 가는 곳으로 명동성당과 함께 하나의 공간처럼 등장한다.


    Filming Location | 영화·드라마 촬영지

     검은 사제들(2015년) 


    Tour Guide | 여행정보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10
  • 전화: 053-254-2300    클릭
  • 계산성당 홈페이지   클릭   
  • 주차장 : 240대 / 시간당 1800원
  • 지하철 : 대구지하철 1,2호선 반월당역 18번 출구 450m

  • Spot Story | 구글 360

     

     
    Spot Story | 구글 지도

    청와대– 국민 품으로 돌아온 옛 대통령 관저

    청와대  Cheong Wa Dae / Blue House


    Plus Code | 위치   


    Spot Story | 관광 명소로 탈바꿈한 청와대

    청와대(靑瓦臺)는 옛 대통령 관저다. 
    2022년 3월 윤석열 대통령 당선된 뒤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면서 2022년 5월 국민들에게 개방됐다. 청와대라는 명칭은 본관 지붕을 청기와를 덮은 것에서 유래됐다. 
    청와대에는 대통령 집무실, 접견실, 회의실, 주거 공간 등이 있는 본관과 비서실, 경호실, 춘추관, 영빈관 등 부속건물로 되어 있다. 또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후원과 연못이 있다. 
    청와대 자리는 고려시대인 1068년 남경(南京)의 별궁이 있었던 곳이다. 조선시대인 1426년 경복궁(景福宮)을 창건하면서 후원인 상림원이 조성됐다. 
    과거시험을 보던 융문당과 풍년을 기원하던 경농재 등이 있었다. 1945년 일제로부터 독립을 이룬 뒤 미군정 관저로 사용됐고,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면서 ‘경무대’로 불렸다. 
     1960년 4·19혁명 후 윤보선 대통령이 ‘청와대’로 이름을 바꿨다. 청와대 앞길은 1968년 북한 무장공비가 청와대를 기습한 ‘김신조 사건’ 이후 통행이 금지돼 오다 2017년 6월 전면 개방됐다. 이후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뒤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면서 청와대가 전면 개방됐다. 
    서울시는 2022년 청와대 개방과 연계해 주말과 공휴일 ‘청와대로 차없는 거리’(효자동 분수대~춘추관)를 운영하고 있다.주변에는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청와대 사랑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국립민속박물관이 있고, 서쪽에는 서촌마을, 동쪽에는 삼청동이 있다.



    Spot Story | 2분 만에 돌아보는 청와대




    Spot Story | 청와대 역사

    [고려시대] 
    고려는 도읍이었던 개경(북한 개성)과 함께 서경(북한 평양), 동경(경주)을 삼경으로 두었는데 1104년 숙종 때 동경 대신 이곳에 이궁(離宮)을 설치하고 남경(남쪽의 서울)으로 삼았다.
    개경 일대에 근거지를 둔 고려의 지배층들이 서울의 지리적인 중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고려 문종이 궁궐을 짓고(1067), 숙종(1095~1105)이 서울로의 천도 계획까지 세웠던 곳이다.

    [조선시대]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는 1394년에 새로운 궁궐터를 찾았다. 고려 이궁 자리는 너무 좁아 좀더 남쪽 아래에 있는 경복궁에 자리를 잡았다. 
    1426년(세종 8년)에 경복궁 후원(뒤뜰)을 조성하면서 지금 청와대 자리에 서현정, 연무장, 과거 시험장을 만들었다. 
    1592년에 임진왜란으로 경복궁과 후원이 완전히 폐허가 됐고, 270년 동안 방치되다 1865년(고종 2년) 흥선대원군이 재건했다. 

    [일제 강점기] 
    일제가 1929년 조선총독부 통치 20주년 기념으로 조선박람회를 이곳에서 개최하면서 경복궁에 있던 건물들이 많이 철거됐다. 
    조선박람회가 끝난 후 한동안 공원으로 있다가 일제는 1939년 조선 총독의 관사를 지었고 이 일대를 경무대(景武臺)라고 불렀다. 
    경무대는 경복궁(景福宮)의 '경'자와 궁의 북문인 신무문(神武門)의 '무'자를 따온 것이다. 
    수궁 터에 지어진 총독부 관사는 1939년 미나미 지로 총독 당시 완공됐으며 3명의 총독이 살았다. 일제가 패망하면서 미군정청이 이를 개조해 미군정청 조선 주재 미군사령관인 하지 장군의 집무실로 이용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경무대’라는 이름을 되찾아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경무대는 제4대 윤보선 전 대통령 때 ‘청와대’로 이름이 바꿨다. 
    정부 수립 후 1990년까지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등 6명 대통령이 집무실과 관저로 사용했다.하지만 구 본관(구 총독 관저)는 1993년 김영삼 대통령 취임 후 ‘역사 바로세우기’ 차원에서 경복궁에 건립된 조선총독부와 함께 철거돼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조선 총독이 거주하던 곳을 대한민국 대통령의 집무실로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여론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현재의 본관은 노태우 대통령 당시인 1991년 9월 준공됐다. 이후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등 6명의 대통령이 사용했다. 
     2022년 3월 윤석열 대통령 당선된 뒤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면서 2022년 5월 국민들에게 개방됐다.



    Spot Story | 청와대 주요 관람 명소 및 유적

    [본관] 
    본관은 대통령의 집무와 외빈 접견 등에 사용된 건물이다. 전통 목구조와 궁궐 건축 양식을 기본으로 15만여개의 청기와를 이은 팔작지붕을 올렸다. 본채를 가운데 두고 좌우에는 별채를 배치했다.. 

    [영빈관] 
    영빈관은 외국의 대통령이나 총리가 방문했을 때 만찬, 연회 등을 베푸는 공식 행사나 대규모 회의나 연회를 하던 건물이다.원형 돌기둥 30개가 건물 전체를 떠받들고 있는 웅장한 모습이며 내부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무궁화, 월계수, 태극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관저] 
    대통령과 그 가족이 생활하는 곳이다. 전통적인 목조 구조이며 궁궐 건축 양식인 팔작지붕의 겹처마에 한식 청기와를 얹었다. 생활 공간인 본채와 접견 행사 공간인 별채가 기역자 모양으로 배치돼 있다. 대문은 삼문으로 세워져 있다.  

    [수궁터] 
    일제 강점기에 총독 관사, 광복 이후 미군정 사령부 거처가 있던 곳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계속 사용하다가 1991년에 청와대 본관을 새롭게 지으면서 1993년 11월에 건물을 철거했다.  

    [상춘재] 
    청와대를 방문하는 외국 귀빈들을 맞는 의전 행사장, 비공식 회의장 등으로 사용된 곳이다.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관사 별관인 매화실이 있었던 곳이다. 이승만 대통령 시절에 상춘실로 이름을 바꿨다. 1978년 3월에 천연 슬레이트 지붕으로 된 양식 목조 건물로 고쳐 지었다. 1983년 4월 연면적 417.96㎡의 전통 한옥으로 새롭게 지은 것이다.  

    [녹지원] 
    120여 종의 나무와 역대 대통령들이 기념식수한 나무가 있다. 한가운데에 있는 반송은 수령이 170여년(추정)으로 녹지원을 대표하는 나무다.조선 시대 때 문・무의 과거를 치르던 장소였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장애인의 날 등 야외 행사가 펼쳐지기도 했다.  

    [융문당·융무당]
    융문당(隆文堂)과 융무당(隆武堂)은 일제 강점기에 훼철된 경복궁 건물에서 살아남은 몇 개 되지 않은 건물이다. 1856년 경복궁 중건 때 융문당은 과거 시험장으로, 융무당은 군사훈련장으로 각각 건립됐다. 원래 융문당·융무당은 현재 상춘재와 녹지원 인근에 있었으나 1929년 일본 사찰인 용산의 용광사로 옮겨졌고, 1946년 원불교에서 인수해 사용하다 2006년 원불교 성지인 영광 백수로 옮겨졌다. 현재 융문당은 원불교 영산성지 창립관으로, 융무당은 옥당박물관 문화체험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춘안당] 
    춘안당(春安堂)은 융문당 서쪽에 있는 부속 건물이다. 임금이 나라에 큰 제사를 지낼 때 묵었던 곳이다. 

    [경농재]
    경농재(慶農齋)는 1893년(고종 30)에 풍년을 기원하고자 조성한 논밭이다. 조선의 전국 팔도를 따서 여덟 구역으로 나눠 임금이 몸소 농사를 지었다. 영빈관 인근에 있었다.

    [수궁]
    수궁(守宮)이란 궁궐을 지키는 군인들이 훈련하던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 경복궁 신무문 밖에 있던 수문사 기능의 군사 건물이다. 청와대 구 본관터에 있었다. 

    [천하제일복지·오운정]
    1868년 고종 때 경복궁 후원을 만들면서 천하제일복지 표석 주변에 오운정, 침류각, 벽화실 등을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 관저 인근에 있었다.오운정과 침류각(서울시 유형문화재)은 1989년 청와대 대통령 관저 건립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경주 방형 대좌 석조 여래 좌상]
    경주 방형 대좌 석조 여래 좌상(慶州 方形臺座 石造如來坐像)은 통일신라 시대인 9세기에 경주 남산의 이거사(移車寺)에 있던 한국의 석조 불상이다. 
    1912년에 총독부 박물관으로 옮겼다가 1989년에 청와대 대통령 관저를 새로 지으면서 청와대로 다시 옮겼다. 
    현재 청와대 녹지원 내 누각식 보호각 안에서 보존돼 있다. 2018년 4월 20일에 보물 제1977호로 지정됐다. 

    [청와대 노거수 군]
    청와대 노거수 군은 청와대 경내의 노거수 여섯 그루를 말한다. 녹지원 반송 1그루와 회화나무 3그루, 상춘재 말채나무 1그루, 버들마당 용버들 1그루 등이다. 
    2022년 10월 7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Spot Story | 영화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단골 명소

    한국 정치 관련 영화와 드라마에는 거의 빼놓지 않고 등장한다. 
    그러나 영화와 드라마에 등장하는 청와대는 경남 합천에 있는 합천 영상테마파크에 있는 청와대 세트장에서 주로 촬영됐다. 
    청와대 세트장은 1992년에 발간된 청와대건설지의 내용과 사진을 바탕으로 실제 청와대의 68%로 축소했다. 
    세트장의 메인이라 할 수 있는 2층의 대통령 집무실은 각종 드라마 및 영화 촬영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청와대가 국민들에게 개방된 만큼 앞으로 영화나 드라마에 실제 등장할 날이 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합천영상테마파크
    청와대 무료 자율주행버스. 사진: 서울시 


    Spot Story | 청와대 무료 자율주행 버스

    자율주행버스는 청와대 주변(경복궁 순환) 약 2.6km를 운행한다. 
    정류장은 경복궁역(효자로입구), 국립고궁박물관(영추문), 청와대, 춘추문, 경복궁·국립민속박물관 등 5개의 정류소에서 자유롭게 승하차 할 수 있다. 
    지하철 이용객의 청와대 방문이 편리하도록 경복궁역 4번 출구와 가까운 효자로입구(국립고궁박물관 앞)에 자율주행버스 전용 정류소를 신설했다. 

    운행 대수 : 2대 
    운행 시간 : 평일(월~금) 오전 9시~오후 5시(점심시간 낮 12시~오후 1시 미운행) 토요일·공휴일은 운행하지 않음 
    운행간격 : 오전 9~10시 : 30분 간격, 오전 10시~오후 5시 : 15분 간격
    운행구간 : 청와대 주변(시계방향으로 경복궁 순환) 2.6km




    Spot Story | 청와대 주변 볼거리

    청와대에 주변에는 볼거리, 먹거리가 많이 있다. 
    청와대를 둘러본 뒤 경복궁과 함께 서촌, 북촌 등을 둘러보면 좋다. 
    경복궁은 청와대 정문 바로 앞에 있는 경복궁 북문인 신무문을 통해 들어가면 된다. 
    경복궁을 돌아본 뒤 정문인 광화문으로 나오면 광화문광장과 국립고궁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등을 볼 수 있다. 
    정문을 나와 동쪽으로 가면 삼청동과 북촌한옥마을을 돌아볼 수 있다. 삼청동에는 유명 맛집과 카페들이 많이 있다. 
    정문을 나와 서쪽으로 가면 서촌과 통인시장, 세종마을 음식문화거리 등 먹거리 볼거리가 많이 있다.

    경복궁 북촌한옥마을 서촌한옥마을 광화문광장 청와대 앞길

    청와대 대표 시설 안내도



    청와대 본관 영빈관 대통령관저수궁터상춘재 녹지원여민관춘추관무궁화동산칠궁


    청와대 대표 명소 - 청와대 명소 10곳

    1. 청와대 본관 Cheongwadae Main Building

    • 대통령 집무실와 외빈 접견 건물

    • 북악산 남쪽에 자리한 청와대 본관은 대통령의 집무와 외빈 접견 등에 사용된 건물이다. 일제 시대 조선 총독이 거주하던 곳을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로 계속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1991년 9월 4일에 새로 지었다. 전통 목구조와 궁궐 건축 양식을 기본으로 15만여개의 청기와를 이은 팔작지붕을 올렸다. 본채를 가운데 두고 좌우에는 별채를 배치했다.

    2. 영빈관 State Guest House

    • 공식행사나 연회를 하던 건물

    • 영빈관은 외국의 대통령이나 총리가 방문했을 때 만찬, 연회 등을 베푸는 공식 행사나 대규모 회의나 연회를 하던 건물이다. 1978년 1월에 착공해 그해 12월에 준공했다. 원형 돌기둥 30개가 건물 전체를 떠받들고 있는 웅장한 모습이며 내부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무궁화, 월계수, 태극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1층에 있는 홀은 외국 국빈을 접견하던 곳이고, 2층에 있는 홀은 대규모 오찬이나 만찬을 베풀던 곳이었다.

    3. 대통령 관저 Presidential Residence

    • 대통령이 생활하던 건물

    • 대통령과 그 가족이 생활하는 곳이다. 전통적인 목조 구조이며 궁궐 건축 양식인 팔작지붕의 겹처마에 한식 청기와를 얹었다. 생활 공간인 본채와 접견 행사 공간인 별채가 기역자 모양으로 배치돼 있다. 앞마당에는 우리나라 전통 양식의 뜰과 사랑채가 있다. 대문은 삼문으로 세워져 있다.

    4. 수궁터 Sugung Site

    • 옛 대통령 집무실 자리

    • 조선 시대 때 경복궁을 지키는 수궁이 있던 자리다. 일제 강점기에 총독 관사, 광복 이후 미군정 사령부 거처가 있던 곳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계속 사용하다가 1991년에 청와대 본관을 새롭게 지으면서 1993년 11월에 건물을 철거했다.

    5. 상춘재 Sangchunjae

    • 외국 귀빈 의전 행사장

    • 청와대를 방문하는 외국 귀빈들을 맞는 의전 행사장, 비공식 회의장 등으로 사용된 곳이다.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관사 별관인 매화실이 있었던 곳이다. 이승만 대통령 시절에 상춘실로 이름을 바꿨다. 1978년 3월에 천연 슬레이트 지붕으로 된 양식 목조 건물로 고쳐 지었다. 1983년 4월 연면적 417.96㎡의 전통 한옥으로 새롭게 지은 것이다.


    6. 녹지원 Nokjiwon

    • 역대 대통령 기념 식수

    • 120여 종의 나무와 역대 대통령들이 기념식수한 나무가 있다. 한가운데에 있는 반송은 수령이 170여년(추정)으로 녹지원을 대표하는 나무다.조선 시대 때 문・무의 과거를 치르던 장소였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장애인의 날 등 야외 행사가 펼쳐지기도 했다.

    7. 여민관 Yeomingwan

    • 대통령 비서실 건물

    • 대통령 비서실이 있던 곳이다. ‘여민고락(與民苦樂)’에서 따온 이름이다. ‘대통령과 비서진이 국민과 더불어 기쁨과 슬픔을 함께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여민관은 1관, 2관, 3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관에 대통령 간이 집무실 등 주요 시설이 있다.

    8. 춘추관 Chunchugwan

    • 대통령 기자회견 장소

    • 대통령의 기자 회견 장소와 언론 취재 본부로 사용되던 곳이다. 춘추관은 고려와 조선 시대 때 역사 기록을 맡아보던 관아인 춘추관과 예문춘추관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역사를 엄정하게 기록하고 자유 언론 정신을 추구하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춘추관은 맞배지붕에 흙 기와를 올려 우아하고 전통적인 멋이 돋보이는 건물이다.

    9. 무궁화 동산 Mugunghwa Garden

    • 옛 중앙정보부 안전가옥

    • 시민 휴식 공원이다. 본래 중앙정보부의 궁정동 안전 가옥이 있던 자리로 한때 출입이 금지되었으나 1993년에 청와대 앞길이 개방되면서 시민 공원으로 조성됐다. 공원에는 나라꽃인 무궁화와 함께 각종 수목과 야생화가 있다. 맞은편에는 분수대가 있어 청와대를 찾는 관광객과 인근 주민들이 휴식처로 이용하고 있다.

    10. 칠궁 Chilgung

    • 조선시대 후궁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

    • 조선 시대 때 왕을 낳은 7명의 후궁들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후궁들의 사당 7개가 있어 칠궁이라고 한다. 청와대와 가까워 1968년 이후 일반인 출입이 금지됐으나 2001년 11월 24일부터 일반에게 다시 공개된 문화유산이다.



    Tour Guide | 여행정보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 개방행사안내센터: 1522-7760   클릭
  • 청와대 홈페이지 클릭   
  • 지하철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에서 980m

  • 영상으로 본 청와대    



    구글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