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Service

여행 레벨 테스트

여행 레벨 테스트

Search TouringWIKI

Travel Media Platform touringwiki

Travel Media Platform touringwiki

파트너스센터

팔로어

레이블이 명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대전 성심당 - 한국 최초 미쉐린가이드 베이커리


대전 성심당 / Sungsimdang Bakery


스팟 스토리 / Spot Story

성심당은 1951년 1·4후퇴 당시 함경도 함흥이 고향인 임길순씨가 피란을 내려왔다가 대전역 앞에 빵집을 열면서 시작됐다.
성심당 빵은 2011년 한국 빵집에서는 처음으로 미쉐린가이드에 이름을 올렸고, 한국을 방문했던 프란체스코 교황도 성심당의 빵을 드셨다고 한다.

성심당 본점은 은행동 대흥동 성당 앞에 있는데 성심당의 역사는 대전역에서 시작된다. 1956년 대전역 앞에서 작은 진빵집으로 시작한 성심당은 ‘모든 이가 다 좋게 여기는 일을 하도록 하십시오’라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1970년 은행동 대흥동성당 앞으로 이전했다.

메뉴 가이드 / Menu Guide

튀김 소보로 - ₩1,500
튀김소보로는 소보로 빵 안에 팥앙금을 넣고 도넛처럼 튀긴 빵이다.
초코튀소 - ₩2,000
초코튀소는 튀김소보로에 초콜릿 코팅을 입힌 것이다. 와썹맨 박준형은 초코튀소의 맛에 반했다.
판타롱 부추빵 - ₩1,800
그 외 메뉴
  • 성심순크림빵 ₩2,000
  • 탁순희빵 ₩2,000
  • 아보카도 오픈샌드위치 ₩9,000
  • 크로와상샌드위치 ₩4,000
  • 작은메아리 ₩2,500
  • 월넛브레드 ₩4,000
  • 야채고로케 ₩1,800
  • 파이만주 ₩5,000
  • 공주밤식빵 ₩3,500

한국에서는 아직 스마트폰에서 Google Earth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PC 같은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스팟 미디어 / Spot Media

Google Map 360
T.tube - 서울촌놈에서 떠난 성심당 빵투어
T.tube - 일일 주문량 대폭발 튀김소보로 만드는 법

투어 가이드 / Tour Guide

기본 정보
교통 정보
  •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2번 출구 200m
  • 주차 : 성심당 고객주차장, 우리들공원 주차장, 현대주차장(우리들공원 옆), 이안과병원 주차장

Google Map




관계항(關係項) - 서울 중심에서 만나는 야외 조각


관계항(關係項) / Relatum


스팟 스토리 / Spot Story

한국프레스센터 앞 ‘관계를 맺고 있는 항’이라는 뜻을 지닌 작품이 있다.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이우환 작가의 작품 ‘관계항(Relatum 關係項)-만남의 탑’으로 1985년 11월 한국프레스센터가 준공되면서 설치됐다.
관계항은 이우환 작가의 야외 조각 설치 중 보기 드문 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작품의 크기는 높이 4m 가로 3.5m 세로 3.5m 이다.

그의 예술 철학

이 작품에서는 이우환 작가의 예술관과 철학을 엿볼 수 있다. 돌과 산업사회의 대표 소재인 철판을 통해 자연과 문명의 만남을 묘사하고 있다. 이어 단단한 기반을 뜻하는 철판과 공간을 나누는 날개로 한국을 중심으로 세계로 나아가자는 위상을 드러냈다. 그는 자연과 문명, 한국과 세계가 조화롭게 관계를 맺는 미래 지향적 모습을 표현했다.

다른 '관계항' 작품을 만나고 싶다면

이 작품에서는 이우환 작가의 예술관과 철학을 엿볼 수 있다. 돌과 산업사회의 대표 소재인 철판을 통해 자연과 문명의 만남을 묘사하고 있다. 이어 단단한 기반을 뜻하는 철판과 공간을 나누는 날개로 한국을 중심으로 세계로 나아가자는 위상을 드러냈다. 그는 자연과 문명, 한국과 세계가 조화롭게 관계를 맺는 미래 지향적 모습을 표현했다.

한국에서는 아직 스마트폰에서 Google Earth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PC 같은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스팟 미디어 / Spot Media

Google Map 360
T.tube - 이우환 작가가 돌과 철을 선택한 특별한 이유

투어 가이드 / Tour Guide

기본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1가 25 한국프레스센터 앞
관련 사이트 교통 정보
지하철 1,2호선 시청역 5번출구 앞

Google Map




운림산방 - 깊은 산속에 있는 고즈넉한 조선 화가의 화실


운림산방 / Unlim Sanbang


스팟 스토리 / Spot Story

운림산방(명승 제80호)은 우리나라 남종화의 고향이자 조선후기 화가 소치 허련(1808∼1893)이 살던 화실이다.
꼬불꼬불한 산길을 따라 들어가다보면 첨찰산(485.2m) 봉우리에 둘러쌓인 운림산방이 있다. 운림산방이란 이름은 ‘깊은 산골에 있어 아침 저녁으로 피어오르는 안개가 구름 숲을 이룬다’는 데서 유래했다.
운림산방에는 허련과 자손들이 그림을 볼 수 있는 소치기념관과 진도역사관 등이 있다. 영화 ‘스캔들-조선남여상열지사(Untold Scandal)’의 배경이 됐다.

한국에서는 아직 스마트폰에서 Google Earth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PC 같은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스팟 미디어 / Spot Media

Google Map 360
T.tube - 시간을 뛰어넘어 조선시대 화가의 작업공간을 들어가다 (180 영상)
T.tube - 고즈넉한 운림산방을 조용하게 둘러보기

Google Map




오동도 - 여수 앞바다에 펼쳐진 아름다운 섬


오동도 / Odongdo


스팟 스토리 / Spot Story

오동도는 원래 섬이었으나 1935년 방파제로 육지와 이어졌다.
육지인 자산공원 앞에서 768m 길이의 방파제를 15분쯤 걸으면 오동도에 들어갈 수 있다. 섬 정상에는 1952년에 세운 오동도 등대가 있는데 여수항과 남해 바다의 전경을 볼 수 있다.
섬의 이름은 오동나무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려 말 신돈이 오동나무 숲은 왕조에 불길하다고 주장해 오동나무들을 모두 베어버렸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오동도에는 3000여그루의 동백나무에서 1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해 3월에 활짝 핀다. 오동도 앞에 있는 자산공원은 일출 명소다.

한국에서는 아직 스마트폰에서 Google Earth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PC 같은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스팟 미디어 / Spot Media

Google Map 360
T.tube - 바다의 시원하고 멋진 풍경과 어우러지는 오동도
T.tube - 그친절하고 꼼꼼한 오동도 여행 가이드 VLOG
T.tube - 오동도에 가면 천 년 역사의 동백꽃에 흠뻑 취할 수 있다

Google Map




간절곶 - 동해안에서 가장 먼저 일출을 볼 수 있는 곳


간절곶 / Ganjeolgot


스팟 스토리 / Spot Story

간절곶은 울산 울주군 서생면 대송리 일원에서 돌출한 곶으로 동해안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른 해를 볼 수 있는 곳이다. 호미곶보다 1분, 강릉 정동진보다 5분 빨리 해돋이를 볼 수 있다.
간절곶이라는 이름은 어부들이 먼 바다에서 이곳을 보면 긴 간짓대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졌다.
간절곶 등대에서는 탁 트인 바다와 함께 등대 장비 등을 볼 수 있다. 등대 운영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다.

한국에서는 아직 스마트폰에서 Google Earth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PC 같은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스팟 미디어 / Spot Media

Google Map 360
T.tube - 동해안에서 제일 먼저 해가 뜨는 여기 '간절곶' 여행가이드
T.tube - 하늘에서 간절곶 둘러보기
T.tube - 간절곶에서 뜨는 일출

Google Map




합천 해인사 - 팔만대장경을 품은 사찰


합천 해인사 / Haeinsa Temple


스팟 스토리 / Spot Story

경남 합천에 있는 해인사는 팔만대장경을 보유하고 있는 법보사찰이다. 불보사찰인 양산 통도사, 승보 사찰인 순천 송광사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사찰로 꼽히는 곳이다.
해인사는 802년(애장왕 3년) 신라 의상대사(625~702)의 제자인 순응과 이정 두 스님에 의해 창건된 화엄종 사찰이다.
해인사가 법보사찰이 된 것은 1398년(태조 7년)에 강화도 선원사에 있던 고려팔만대장경판을 서울시청 인근에 있던 지천사로 옮겼다가 이듬해 해인사로 옮기면서부터다.

한국에서는 아직 스마트폰에서 Google Earth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PC 같은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스팟 미디어 / Spot Media

Google Map 360
T.tube - 800여년 전 만들어진 해인사 대장경은 어떻게 보관되고 있었을까
T.tube - 코로나19 속 초등학생들의 팔만대장경 탐방기
T.tube - 한국 드라마 최초로 공개된 팔만대장경 나오는 장면, 드라마 ‘무신’

Google Map




국제시장 - 일상의 활기가 느껴지는 재래시장


국제시장 / Gugje Market


스팟 스토리 / Spot Story

국제시장은 영화 ‘국제시장’에 나온 꽃분이네처럼 치열하게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분주한 삶이 떠오르는 곳이다.
국제시장은 1945년 광복 이후 일본인들이 남긴 물건과 해외동포들이 가져온 물건들을 거래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장이다.
처음에는 '도떼기시장'이라 불리다가 1950년 미군 부대에서 흘러나온 물건을 취급하면서 국제시장이라고 불리게 됐다.

한국에서는 아직 스마트폰에서 Google Earth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PC 같은 Windows 운영체계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

스팟 미디어 / Spot Media

Google Map 360
T.tube - 영화 ‘국제시장’의 그 가게들을 찾아가는 VLOG
T.tube - 실제 1952년 부산 국제시장 희귀사진자료 보기
T.tube - 실제 국제시장의 그 간판이 보이는 영화 ‘국제시장’의 그 장면

Google Map